티스토리 뷰
1.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쿠버네티스의 주요 아키텍처는 컨트롤 플레인과 워크노드로 나뉜다.
1)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
- 클러스터의 상태를 관리, 워크로드 조정, 클러스터가 원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
(1) kube-apiserver
- 쿠버네티스 API를 제공하는 중심 관리 컴포넌트
- 외부 사용자, 관리자, 내부 구성요스가 클러스터와 상호작용
- 모든 요청은 이 API 서버를 통해 처리
(2) etcd:
- 클러스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관적, 고가용성의 키- 값 저장소
- 노드, 포드, 설정 정보 등 클러스터 상태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 저장
(3) kube-scheduler:
- 새로 생성된 pod를 적절한 워커노드에 할당
- 리소스 요구사항, 제약조건(taints/tolerations, 노드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최적의 노드를 선택
(4) kube-controller-manager:
- 여러 컨트롤러를 실행하여 클러스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하는 상태로 유지
- 노드 컨트롤러(노드 상태 관리), 복제 컨트롤러(지정된 포드 복제 수 유지), 엔드포인트 컨트롤러(서비스 엔드 포인트 관리)
2) 워커 노드(Worker Nodes)
- 실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곳으로 포드를 호스팅
(1) kubelet:
- 각 워커 노드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로, kube-apiserver와 통신하여 포드를 생성 및 관리
- 포드 사양(PodSpec)을 읽고 컨테이너가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보장
- 주기적으로 컨테이너와 노드 상태 보고
(2) kube-proxy
- 네트워크 프록시 역할을 하며, 서비스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네트워크 규칙을 설정하여 포드 간, 서비스 간 트래픽이 올바르게 라우팅 보장
(3) 컨테이너 런타임 엔진
-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 Docker, Containerd, CRI-O등이 사용
3) 주요 작동 흐름
(1) 사용자는 kubectl 명령어 또는 API를 통해 kube-apiserver에 요청을 보냄
(2) kube-apiserver는 요청을 검증하고 etcd에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원하는 상태를 저장
(3) kube-scheduler는 새 pod를 적절한 워커 노드에 할당
(4) kube-controller-manager는 클러스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 원하는 상태를 유지
(5) kubelet은 kube-apiserver의 지시에 따라 컨테이너를 시작하거나 중지하며 상태를 보고
(6) kube-proxy는 네트워크 통신 규칙을 설정하여 포드간 연결 지원
2. Docker, Containerd, ctr nerdctl,crictl
1) 초기 컨테이너 시대와 도커의 등장
(1) 도커는 초기 컨테이너 시대에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하여 가장 널리 사용된 도구
(2) 초기 쿠버네티스는 도커만 지원하며, 도커와 긴밀히 통합되어 작동
2) 컨테이너 런타임 인터페이스 도입
(1) 쿠버네티스가 성장하면서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rkt)를 지원하기 위해 CRI 도입
- CRI는 OCI(Opern Container Initiative) 표준(이미지 사양 및 런타임 사양)을 준수하는 모든 컨테이너 런타임을 지원하도록 설계
(2) 도커와 CRI의 호환성 문제
- 도커는 CRI 표준 이전에 개발되어 CRI를 지원하지 않음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쿠버네티스는 임시로 Dockershim이라는 중간 계층을 추가하여 도커를 계속 지원
- Dockershim은 유지보수 부담 및 복잡성으로 인해 쿠버네티스 1.24 이후로 중단
- 이후 기존 도커 이미지들은 OCI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containerd를 통해 계속 사용되었음
3. Containerd의 독립성과 역할
- Containerd는 원래 도커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독립적인 CNCF 프로젝트로 발전
- Containerd는 CRI 표준을 준수하며, 쿠버네티스와 직접 통합가능
- Docker없이도 Containerd를 설치하고 사용 가능
4. 주요 CLI 도구
1) CTR
- Containerd에 포함된 기본 CLI 도구로, 디버깅 목적으로 설계됨
- 기능이 제한적이며,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
2) nerdctl
- 도커와 유사한 CLI로 Containerd 커뮤니티에서 개발
- 도커 명령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추가기능(암호화된 이미지,P2P 이미지 배포,lazy pulling)등을 제공
- 도커 대체용
3)Crictl
- Kubernetes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CLI로, 모든 CRI 호환 컨테이너 런타임과 상호작용 가능
- 주로 디버깅 및 상태 점검 목적으로 사용되며, 프로덕션 환경에서 컨테이너 생성에는 적합하지 않음
- kubelet과 연동되어 노드 및 포드 상태를 확인하는 디버깅 목적으로 주로 사용됨
3. ETCD
1) ETCD란 무엇인가
(1) ETCD는 분산형, 신뢰할 수 있는 Key-Value 저장소로, 간단하고 안전하며 빠름
- Key-Value 저장소로 각 문서,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며, JSON,YAML과 같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여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 분산 시스템으로 고가용성을 보장한다.
2) ETCD의 주요기능
(1) 클러스터의 상태정보 저장
- Kubernetes의 노드, Pods, Configs, Secrets, Accounts, Roles 등 클러스터 메타데이터를 관리
- 'kubectl get' 명령어로 확인 가능한 모든 클러스터 메타데이터를 관리
(2) 변경 사항 반영
- 클러스터 변경(노드추가, 포드 배포 등)은 ETCD에 업데이트된 후에야 완료로 간주
3) ETCD 설치 및 작동
(1) 설치:
- Github releases 에서 바이너를 다운로드하고 압축 해제 후 실행
wget -q --https-only \"https://github.com/coreos/etcd/releases/download/v3.3.9/etcd-v3.3.9-linux-amd64.tar.gz"
- 기본적으로 포드 2379에서 서비스가 실행됨
(2) 작동
- ETCDCTL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Key--Value쌍을 저장하고 검색 가능
## etcd-master에 키만 가져오도록 명령어 실행
kubectl exec etcd-master -n kube-system etcdctl get / --prefix -keys-only
4) 다중 마스터 노드 ETCD 구성
- 고가용성으로 여러 마스터노드에 걸쳐 다중 인스턴스를 배포하는 경우, 각 ETCD인스터가 서로를 인식하도록 초기 클러스터 옵션을 설정해야하함.
##etcd.service 내용
ExecStart=/usr/local/bin/etcd \\
--name ${ETCD_NAME} \\
--cert-file=/etc/etcd/kubernetes.pem \\
--key-file=/etc/etcd/kubernetes-key.pem \\
--peer-cert-file=/etc/etcd/kubernetes.pem \\
--peer-key-file=/etc/etcd/kubernetes-key.pem \\
--trusted-ca-file=/etc/etcd/ca.pem \\
--peer-trusted-ca-file=/etc/etcd/ca.pem \\
--peer-client-cert-auth \\
--client-cert-auth \\
--initial-advertise-peer-urls https://${INTERNAL_IP}:2380 \\
--listen-peer-urls https://${INTERNAL_IP}:2380 \\
--listen-client-urls https://${INTERNAL_IP}:2379,https://127.0.0.1:2379 \\
--advertise-client-urls https://${INTERNAL_IP}:2379 \\
--initial-cluster-token etcd-cluster-0 \\
--initial-cluster controller-0=https://${CONTROLLER0_IP}:2380,controller-1=https://${CONTROLLER1_IP}:2380 \\
--initial-cluster-state new \\
--data-dir=/var/lib/etcd
- --cert-file,--key-file: HTTPS 보안 통신을 위한 클라이언트 인증서와 키파일 그리고 CA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 --peer-cert-file,--peer-key-file: 다중 클러스터 통신시 피어 ETCD간 인증을 위한 인증서와 키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 --initial-advertise-peer-urls: 피어 노드 간 통신을 위한 URL을 지정(일반 ETCD 포트 2379가 아닌 2380으로 쓰인다.)
- --listen-peer-urls: 피어 간 통신을 수신할 URL을 지정
- --listen-client-urls/--advertise-client-urls : 클라이언트 요청을 수신/광고할 URL을 지정
- --initial-cluster-state --initial-cluster: 클러스터의 상태(새로운 클러스터 생성 'new', 기존 클러스터 연결 'existing') 을 명시하고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와 해당 URL 목록을 나열한다.
- --data-dir=var/lib/etcd : etcd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경로로 장애복구시 백업 대상이 된다.
4. Kube-API Server
1) 정의
- 쿠버네티스의 주요 관리 컴포넌트로 클러스터 내 모든 작업이 서버를 통해 이루어짐
- 사용자가 kubectl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당 요청은 kube-apiserver로 전달
- kube-apiserver는 요청을 인증 및 검증한 후 데이터를 etcd에서 가져오거나 업데이트
2) 주요 역할
(1) 요청처리:
- 사용자의 요청을 인증하고 유효성을 확인
(2) 클러스터 데이터 관리:
- 클러스터 상태 정보(node,pod,config)를 저장하고 업데이트
- etcd와 직접 통신해서 정보를 파악하고 저장
(3) 다른 컴포넌트와의 통신
- kube-scheduler 및 kube-controller-manager가 API 서버를 통해 클러스터 상태를 업데이트
- 워커 노드의 kubelet과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 배포 명령 전달
3) 작동 흐름
- 사용자가 Pod 생성 요청을 보냄(kubectl, api호출 등)
- kube-apiserver가 요청을 인증 및 검증
- Pod 객체를 생성하고 정보를 ETCD에 저장
- 스케줄러가 새로운 Pod를 감지하고 적절한 노드에 할당
- 스케줄러가 노드정보를 kube-apiserver에 전달
- kube-apiserver가 해당 정보를 다시 etcd에 업데이트
- 워커 노드의 kubelet이 Pod를 생성하고 컨테이너 런타임엔진(Docker,Containerd)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미지를 배포
4) Kube-API Server 설치 및 구성
(1) 설치
- kubeadm을 사용한 설치할 경우, kube-API Server를 포함한 컨트롤 플레인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연관된 네트워크 대역을 설정할 수 도 있다.
- Kubeadm은 kube-api server를 Pod로 배포하며, 관련 설정은 /etc/kubernetes/manifest/kube-apiserver.yaml에 저장된다.
- 바이너리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할 수도 있다. 수동설치한뒤 /etc/systemd/system/kube-apiserver.service 에 서비스파일을 만들어야한다.
wget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release/v1.31.0/bin/linux/amd64/kube-apiserver
chmod +x kube-apiserver
sudo mv kube-apiserver /usr/local/bin/
#서비스 파일 내용은 해당 디렉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sudo vi /etc/systemd/system/kube-apiserver.service
##구성파일 예시
[Unit]
Description=Kubernetes API Server
Documentation=https://kubernetes.io/docs/
After=network.target
[Service]
ExecStart=/usr/local/bin/kube-apiserver \
--advertise-address=192.168.1.100 \
--allow-privileged=true \
--authorization-mode=Node,RBAC \
--client-ca-file=/var/lib/kubernetes/ca.pem \
--etcd-cafile=/var/lib/kubernetes/ca.pem \
--etcd-certfile=/var/lib/kubernetes/apiserver-etcd-client.pem \
--etcd-keyfile=/var/lib/kubernetes/apiserver-etcd-client-key.pem \
--etcd-servers=https://127.0.0.1:2379 \
--service-cluster-ip-range=10.96.0.0/12 \
--tls-cert-file=/var/lib/kubernetes/apiserver.pem \
--tls-private-key-file=/var/lib/kubernetes/apiserver-key.pem
Restart=on-failur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2) api서버 주요 요소
- 인증 및 보안 : --client-ca-file, ---etcd-certfile, --etcd-keyfile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검증하기 위한 ,ca, 인증서 키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authoriztion-mode를 통해 권한 부여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설정: `--advertise-address` API 서버가 광고할 IP 주소, `--bind-address` API 서버가 수신할 IP 주소, `--service-cluser-ip-range` 클러스터 내 서비스의 IP범위 설정을 명시할 수 있다.
(3) 실행 및 확인 명령어
## kubeadm으로 배포된 경우 확인 명령어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 grep kube-apiserver
--출력--
kube-system kube-apiserver-master 1/1 Running 0 5m
##수동 설치된 경우 실행 및 확인 명령어
sudo systemctl start kube-apiserver.service
sudo systemctl status kube-apiserver.service
--출력--
● kube-apiserver.service - Kubernetes API Server
Loaded: loaded (/etc/systemd/system/kube-apiserver.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Mon 2024-12-09 12:00:00 KST; 5min ago
Docs: https://kubernetes.io/docs/
Main PID: 12345 (kube-apiserver)
Tasks: 8 (limit: 4915)
Memory: 512M CPU: 10%
CGroup: /system.slice/kube-apiserver.service
└─12345 /usr/local/bin/kube-apiserver ...
5. Kube Controller Manager
1) 정의
- 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다양한 컨트롤러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
- 컨트롤러: 클러스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사용자가 정의한 원하는 상태와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함
- 클러스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며 쿠버네티스의 핵심 기능을 구현
2) 주요역할
- 여러 컨트롤러를 통합 관리하며, 각 컨트롤러는 특정 작업을 담당
(1) Node Controller
- 노드 상태를 감시하고 문제가 발생한 노드에 대해 조치를 취함
- ex) 노드가 40초동안 응답하지 않으면 Unreachable로 표시하고 5분 후에도 복구되지 않으면 해당 노드의 Pod를 다른 노드로 이동
(2) Replication Controller
- 지정된 Pod 복제수를 유지
- Pod가 삭제되거나 실패하면 새로운 Pod를 생성하여 복제 수를 유지
(3) Deployment Controller
- 어플리케이션 배포 및 롤링 업데이트를 관리
- 새로운 버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거나 이전 버전으로 롤백
(4) Namespace Controller
- 네임스페이스 생성 및 삭제 관리
(5) PersistentVolume Controller
- PersistentVolume과 PersistentVolumeClaim의 바인딩 및 관리를 담당
(6) Job 및 CronJob Controller
- Job과 CronJob 오브젝트를 관리하여 작업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보장
(7) StatefulSet및 DaemonSet Controller
- StatefulSet: 상태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Pod)에 대해 고유한 식별자와 스토리지를 제공
- DaemonSet: 모든 노드에서 특정 Pod가 실행되도록 보장
3) 작동방식
- Kube Controller Manager는 API 서버를 통해 클러스터 상태를 감시하고 조치를 취함
(1) Yaml manifest 파일로 원하는 상태를 정의하고 오브젝트(Pod 등)배포
(2) API서버가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etcd에 저장
(3) Kube Controller Manager의 각 컨트롤러가 해당 오브젝트를 감시
(4)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필요 작업 수행
4) 설치 및 구성
(1) 설치 및 확인방법
- kubeadm init으로 설치되면, 컨트롤러 플레인이 설치 되면서 kube controller manager등이 Pod 형태로 자동 배포된다.
- kubeadm을 사용한 설치의 경우, Kube Controller Manager를 Pod 형태로 자동 배포하며 관련 설정 파일은 /etc/kubernetes/manifests/kube-controller-manager.yaml에 저장
- kubectl get pods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kube controller manager확인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 grep kube-controller-manager
##출력
kube-system kube-controller-manager-master 1/1 Running 0 10m
## Pod 형태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kube-controller-manager
namespace: kube-system
spec:
containers:
- name: kube-controller-manager
image: k8s.gcr.io/kube-controller-manager:v1.31.0
command:
- kube-controller-manager
- --address=127.0.0.1
- --cluster-signing-cert-file=/etc/kubernetes/pki/ca.crt
- --cluster-signing-key-file=/etc/kubernetes/pki/ca.key
- --controllers=*,bootstrapsigner,tokencleaner
- --kubeconfig=/etc/kubernetes/controller-manager.conf
- --leader-elect=true
- --root-ca-file=/etc/kubernetes/pki/ca.crt
- --service-account-private-key-file=/etc/kubernetes/pki/sa.key
- --use-service-account-credentials=true
- 수동설치의 경우,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하여 직접 설치 가능하며 서비스 파일을 구성해야 한다.
##수동 설치
wget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release/v1.31.0/bin/linux/amd64/kube-controller-manager
chmod +x kube-controller-manager
sudo mv kube-controller-manager /usr/local/bin/
##서비스 구성
[Unit]
Description=Kubernetes Controller Manager
Documentation=https://kubernetes.io/docs/
After=network.target
[Service]
ExecStart=/usr/local/bin/kube-controller-manager \
--address=0.0.0.0 \
--cluster-cidr=10.200.0.0/16 \
--cluster-name=kubernetes \
--cluster-signing-cert-file=/var/lib/kubernetes/ca.pem \
--cluster-signing-key-file=/var/lib/kubernetes/ca-key.pem \
--kubeconfig=/var/lib/kubernetes/kube-controller-manager.kubeconfig \
--leader-elect=true \
--root-ca-file=/var/lib/kubernetes/ca.pem \
--service-account-private-key-file=/var/lib/kubernetes/service-account-key.pem \
--service-cluster-ip-range=10.32.0.0/24 \
--use-service-account-credentials=true \
--v=2
Restart=on-failur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5) 구성요소
(1) 인증 및 보안
--cluster-signing-cert-file, --cluster--signing-key-file :인증서를 서명하는데 사용되는 CA인증서와 키 파일경로
--service-account-private-key-file: 서비스 계정 토큰 서명을 위한 개인 키 파일 경로
(2) 네트워크
--address: 컨트롤러 매니저가 요청을 수신할 IP 주소
--service-cluster-ip-range: 서비스 IP 범위 설정
6. Kube-Scheduler
1) 정의
- 클러스터에서 Pod를 적절한 노드에 배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컴포넌트
(1) 역할:Pod가 생성되면, kube-scheduler는 POd의 요구사항과 노드의 상태를 기반으로 가장 적합한 노드를 선택하고 Pod를 배치
(2) 고려사항: kube-scheduler는 Pod를 배치할 노드를 결정만 하며, 실제로 Pod를 노드에 배치하는 작업은 해당 노드의 kubelet이 수행합니다.
2) 작동원리
- 두가지 단계로 배치할 노드를 결정
(1) 필터링 단계
- Pod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노드를 제외
- CPU/메모리 리소스를 지원하지 않는 노드 제외
- Taints/Tolerations 규칙에 맞지 않는 노드 제외
(2) 랭킹 단계
- 필터링된 노드 중에서 가장 적합한 노드를 선택
- 우선순위 함수를 사용하여 각 노드에 점수를 부여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노드를 선택
(3) 주요 스케줄링 기준
- 리소스 요구사항: CPU, 메모리 등 Pod의 리소스 요청과 제한
- Taints와 Tolerations: 특정 조건에서 Pod가 특정 노드에 배치되지 않도록 제어
- Node Selectors: 특정 레이블을 가진 노드에만 Pod를 배치
- Affinity/Anti-Affinity Rules: 특정 pod와 가까운 위치 또는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배치
7. kubelet
1) 정의
- 쿠버네티스 워커 노드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로, 클러스터의 Pod와 컨테이너 관리를 담당
(1) 역할
- 워크 노드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등록
- API 서버로부터 받은 명령에 따라 Pod를 생성 및 관리
- 컨테이너 런타임엔진(Docker, Containerd)을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실행
- 주기적으로 Pod와 컨테이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API 서버에 보고
(2) 주요 기능
- 노드 등록: kubelet은 노드를 클러스터에 등록하고 상태정보를 보고
- Pod 생성 및 관리: kube-scheduler가 선택한 노드에 Pod를 배치하도록 명령을 받으면 kubelet은 컨테이너 런타임엔진을 호출하여 Pod를 실행
- 상태보고: Pod와 컨테이너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 이를 kube-apiserver에 보고하여 클러스터 상태를 유지
- TLS 부트스트래핑: kubelet은 클러스터 보안을 위해 TLS 인증서를 생성하고 API 서버와 안전하게 통신
8. kube-proxy
1) 정의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Pod와 서비스간의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컴포넌트
(1) 역할:
- 서비스와 연결된 Pod로 트래픽을 라우팅
- 클러스터 내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며, 각 노드에 필요한 네트워크 규칙을 설정
- 서비스 IP와 Pod IP 간의 매핑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통신 보장
2) 주요기능
(1) Pod간 통신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Pod는 내부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
- kube-proxy는 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
(2) 서비스를 통한 트래픽 라우팅
- 서비스는 특정 Pod를 외부 또는 클러스터 내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추상화된 IP 주소와 이름을 제공
- kube-proxy는 서비스 IP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백엔드 Pod로 전달
(3) 네트워크 규칙 생성
- iptables또는 ipvs를 사용하여 트래픽 라우팅 규칙을 설정
- 서비스 IP로 들어오는 요청을 실제 Pod IP로 포워딩하는 등의 규칙을 설정
3) 작동방식
(1) Pod Network 설정
- 모든 Pod는 클러스터의 가상 네트워크에 연결
- 이 네트워크를 통해 Pod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
(2) 서비스 생성시 동작
- 사용자가 서비스를 생성하면 kube-proxy가 이를 감지하고, 각 노드에 필요한 네트워크 규칙을 설정
(3) 서비스 IP와 Pod IP 매핑
- kube-proxy는 서비스와 연결된 백엔드 Pod목록을 유지하며, 트래픽을 적절한 Pod로 라우팅
(4) kubeadm으로 배포하는 경우, Daemonset형태로 자동 배포된다. 각 노드에 하나의 kube-proxy Pod가 실행된다.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5. Application Management 1) Rolling Updates and Rollbacks (0) | 2024.12.11 |
---|---|
[쿠버네티스] 4. 모니터링 (0) | 2024.12.11 |
[쿠버네티스] 3. 스케줄링 2) DaemonSets, Static Pods (0) | 2024.12.10 |
[쿠버네티스] 3. 스케줄링 1) Scheduling (0) | 2024.12.10 |
[쿠버네티스] 2.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Pod, ReplicaSets, Deployments, Services, Namespaces (2) | 2024.12.09 |